(주)주원개발
로그인 회원가입
  • 임대문의
  • 임대문의

    웹사이트 상위노출 [단독]시의원들 “자발적 모금”했다던 산불 성금, 알고보니 ‘세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또또링2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4회   작성일Date 25-09-18 03:53

    본문

    웹사이트 상위노출 광주광역시의회가 지난 3월 영남산불 피해 주민들을 돕겠다며 기부한 성금 중 상당액이 업무추진비 등 의회 예산인 것으로 확인됐다. 세금으로 성금을 내고도 당시 시의회는 의원과 간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며 홍보했다.
    15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광주시의회가 지난 3월28일 ‘산불 피해 복구 성금’ 으로 대한적십자사에 기부했던 500만원 중 180만원이 의회 예산이었다.
    시의회 업무추진비 사용내역을 보면 3월28일 ‘2025봄철 전국 산불 피해 지원 성금 기부’ 명목으로 의장과 부의장, 의회 사무처장의 업무추진비와 의회 운영공통경비를 사용했다. 의장은 20만원, 부의장 2명은 각각 15만원, 사무처장은 30만원을 업무추진비로 기부했다. 의정활동 지원에 쓰게 돼 있는 의회 운영공통경비로도 같은날 100만원이 성금으로 지출됐다.
    시의회는 기부 사실을 홍보하며 의회 예산 사용 사실을 언급하지 않고 ‘자율 모금’ 이라고 밝혔다. 당시 보도자료를 보면 성금 모금은 시의회 의장단을 비롯한 23명 전체 의원과 사무처 간부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했다고 돼있다.
    정부 규칙을 보면 지방의회 의장 등이 다른 지자체에서 발생한 재난·사고 이재민이나 피해자에게 업무추진비로 격려금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지방의회에서는 ‘기부 정신에 어긋난다’며 성금에 직접으로 예산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지난 4월8일 경상북도사회복지모금회에 산불 성금 1136만원의 성금을 기부한 전남도의회의 경우 도의원 60명과 사무처 공무원 200여명이 자발적으로 성금을 냈다. 전남도의회는 관련 규칙에 업무추진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기부 의미를 생각해 개인별 모금으로 진행한 것이라면서 성금 모금에는 업무추진비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시의회는 의원들이 당시 개인별 10만원씩의 성금을 냈으며 사무처 5급 이상 간부들도 참여했다면서 기부 금액을 500만원으로 맞추기위해 부족한 액수를 업무추진비와 운영경비로 충당했다고 해명했다.
    기우식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사무처장은 공금인 업무추진비로 산불 성금을 마련한 것은 어떤 핑계로도 말이 안 되는 상황이라면서 업무추진비를 자기 돈처럼 여기는 시의회 행태가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가 미국 정부에 관세 협상 관련해 한·미 통화스와프를 요청했다. 미국이 지난 7월 한·미 관세협상 타결 당시와 달리 말을 바꿔 한국에 3500억달러(약 488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에서 현금 직접 출자 비중을 높이라고 요구하자, 한국도 외환시장 충격을 방어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로 통화스와프 개설을 요청한 것이다.
    14일 정부 등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미국과 최근 관세협상 과정에서 무제한 한·미 통화스와프 개설 필요성을 제시했다.
    통화스와프는 유사시 자국 화폐를 상대국에 맡기고 미리 정해진 환율로 상대국 통화를 빌려올 수 있도록 하는 계약이다.
    한국과 유사한 카마그라구입 형태의 관세 협상을 체결한 일본의 경우 달러·엔 통화스와프가 무제한 체결되어 있어 외화 유출로 인한 타격이 한국보다 적다. 일본은 기축 통화국이기도 하다.
    반면 한국의 경우 기축통화국이 아닌데다 미국이 한국에 요구한 3500억달러는 외환보유액의 80%가 넘는다. 미국의 3500억달러 직접 투자 요구에 응하면 한국에 제2의 외환위기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이에 한국 정부는 현재 중단된 한·미 중앙은행 간 통화스와프 협정을 부활시켜 외환시장의 불안을 잠재우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한미 간 통화스와프가 체결되더라도 대미 투자로 인한 3500억달러 외화유출 리스크는 여전히 남는다. 통화스와프는 ‘달러를 빌리는 행위’이므로 한국 정부가 미국에 원리금을 언젠가 갚아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미국은 비기축 통화국인 한국과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맺는 데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한·미 통화스와프 협상과 관련해 현재 대미 투자 협상 과정에서 외환시장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협의 중이라며 다만 한·미 간 협의 중인 사항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줄 수 없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한·미 통화스와프는 2008년~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2020년~2021년 코로나19 위기까지 두 차례 체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