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원개발
로그인 회원가입
  • 임대문의
  • 임대문의

    카마그라구입 LG이노텍, 베트남에 V3 신공장 완공…카메라 모듈 생산지 이원화 본격 시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또또링2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54회   작성일Date 25-09-22 20:51

    본문

    카마그라구입 LG이노텍이 광학솔루션 카메라 모듈 생산지 이원화 전략에 본격 시동을 건다. LG이노텍은 21일 베트남 하이퐁 생산법인 신규 공장인 V3(사진) 건설을 완료하고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LG이노텍은 앞서 2023년 7월 V3 공장 증설을 비롯한 광학솔루션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베트남 생산법인에 2025년 12월까지 1조3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V3 신공장 증설로 카메라 모듈 생산능력이 기존 대비 2배 이상 확대됐다.
    국내 설비 투자도 이어가고 있다. 지난 3월 경북 구미시와 60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해 내년 연말까지 구미 사업장에 고부가 카메라 모듈 등의 생산을 위한 신규 설비투자를 단행한다.
    LG이노텍은 생산지 이원화 전략에 따라 구미·파주 등 국내 사업장은 기술개발 및 고부가 제품 생산기지로, 베트남 생산법인은 범용 제품 핵심 생산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LG이노텍은 또 주요 핵심 부품을 내재화하고 AX(인공지능 전환)를 통한 원가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혁수 대표는 베트남 V3 공장 증설 완료를 계기로 카메라 모듈 사업의 수익성은 점차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며 글로벌 카메라 모듈 1위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33억달러, 반년 만에 47배자동차가 전체의 57.5% 차지기업 부담 줄이는 대책 시급
    미국이 한국산을 비롯한 모든 수입 자동차에 품목관세 25% 등 본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면서 올해 2분기 한국의 대미 관세액 증가 속도가 주요국 중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올해 2분기 대미 수출 상위 10개국을 대상으로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관세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한국의 2분기 대미 수출 관세액은 33억달러(약 4조6200억원)로 10개국 중 6위에 해당했다. 관세액이 가장 많은 국가는 중국(259억3000만달러)이었다. 그다음은 멕시코(55억2000만달러), 일본(47억8000만달러), 독일(35억7000만달러), 베트남(33억4000만달러) 등의 순으로 뒤를 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인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보면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무관세였던 한국은 10개국 중 관세액이 가장 크게 상승한 국가였다. 증가율을 보면 한국은 4614%(47.1배)나 됐다. 이어 캐나다(1850%·19.5배), 멕시코(1681%·17.8배), 일본(724%·8.2배), 독일(526%·6.3배), 대만(377%·4.8배) 등의 순이었다.
    중국은 관세 증가액이 141억8000만달러로 가장 크지만, 조 바이든 정부 때에도 전기차·배터리·반도체·태양전지 등의 품목에 고율의 관세가 적용돼 증가율에서는 10개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의 2분기 대미 수출 관세액을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이 19억달러(약 2조6600억원)로 전체의 57.5%를 차지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3일(현지시간) 모든 수입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25% 품목관세, 같은 달 9일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기본관세 10%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실제 국가별로 적용되고 있는 2분기 실효 관세율(관세 부과액을 수출액으로 나눈 값)은 중국이 39.5%로 가장 높았다. 웹사이트 상위노출 한국은 10.0%로 일본(12.5%)에 이어 3번째로 높은 국가였다. 상의는 2분기 대미 수출액이 세계 8위임을 고려하면, 수출 규모에 비해서도 관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평가했다.
    상의는 관세 조치 초기에는 수입자 부담이 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수출자 부담이 커진다며 수출 기업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과 입법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가 지난달 발표한 자료를 보면 다음달 이후 소비자·수출자·수입자가 각각 관세의 67%·25%·8%를 부담할 것으로 전망했다.
    강석구 상의 조사본부장은 15% 상호관세 중 수출 기업이 4분의 1을 부담한다고 가정하면 대미 수출의 3.75%를 관세로 부담하는 셈이라며 지난해 한국 제조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5.6%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기업 입장에서 부담 요인이 크게 증가한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